행복한 CEO 인생특강, 행복특강, 행복한 인생특강, 공주대 최고경영자과정 특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이트관리자관련링크
본문
CEO행복특강 공주대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 CEO행복한 인생특강
소통전문가 이기화입니다.
행복한 인생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하고 있나요? 무엇을 이루어야만 행복한 것일까요? 행복은 과정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해석하느냐... 그리고 얼마나 내 삶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느냐라고 하는 것인데..
많은 분들이 행복은 원하는 것을 얻어야먄 행복하다고 생각합니다.
맞습니다. 그럴 수도 있습니다.
그말도 맞습니다.
행복... 에 대해 대화나누고 왔습니다.
이번 공주대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은 공주지구와 부여지구 두 곳에서 지역대표님들이 각각 한자리에 모이셔서 사업에 도움이 되는 강의를 듣게 됩니다. 인적네트워크를 연결시키고 지역발전을 위해 봉사도 하시고 자신의 사업과도 연결하는 다다익선의 자리이죠.
공주대 인문사회대 정환영학장님께서
작년에 이어 앵콜강의불러주셔서 감사드리고
CEO행복한 인생특강
이론에 근거한
저만의 이야기로 전달하고 왔습니다.
어제는 부여지구 CEO 과정이었어요.
부여군보건소에서 진행했는데요.
이번주 단기방학이라 그런지 대표님들이 많이 안나오셨더라구요.
지난 공주대에서 공주지구 최고경영자과정에는 자리를 꽉 채우시고 많이 오셔서 호응도 폭발적이었는데..
이번 부여지구는 열명정도... 앉아계시는 자리에서 강의를 시작했습니다.
그리고나니.. 한두분씩 자리를 채우시네요. 5월 8일 어버이날 전날이라 부모님들과 저녁 먹느라 출석률이 저조한거 같다며 작은 위로로 저를 격려해주시는 대표님도 계시고..
오신 분들은 시간이 아까워 늦지 않을려고 익산에서 총알같이 달려왔다는 분도 계시는데,
우리끼리 그래도 열심히 해야겠죠?
자리 이동을 두번씩이나 감행하면서 행복한 인생특강을 순조롭게 마쳤습니다.
강의 다 들으시고
화려한 그녀 라는 별명을 가지신 회장님께서 나오시더니..
강의 너무너무 좋았다면서... 교수님이 이 강의 너무 좋다고.. 추천하셨다고.. 너무 좋다고... 하시는데..
어찌나 진심이 느껴지던지.. 감사했어요.
끝나고 식사하자는 걸 뒤로 한채 올라와야만 했죠.
지난번에도 식사하고 올라갔더니.. 너무 늦더라구요..
그래서.. 정중히.. 감사함만 받고 올라왔죠.
행복.. 여러분은 행복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행복이라는 추상적인 단어.... 참 어렵습니다.
굉장히 주관적이구요.
행복이라는 언어 자체 풀이는
주관적인 만족감
이거든요..
말 그대로 주관적!!
행복은 지가 만드는거겠네요. 다른 사람과 비교 할 필요도 없구요...
돈과 행복지수는 어떨까요??
노벨경제상을 받은 디톤 교수와 심리학자 카네만은 2년 동안 45만 명의 미국인들을 상대로 돈과 행복지수를 조사했습니다. 2010년 이 발표에 의하면 미국인이 가장 행복을 느끼는 것은 자신의 연간 수입이 7만5,000달러에 이르렀을 때라고 합니다. 그 이상 올라가면 행복지수가 떨어지는걸로 조사됐다고 하는데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행복을 결정짓는 요소들은 무엇일까요?
외부환경, 유전적 환경과 자율적인 통제가 가능한 내적환경의 요소들일 수 있겠네요.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율성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관계성.
저는 행복을 재미라고 해석합니다.
그럼 좀 더 빨리 들어와요.
행복하려면 몰입을 경험하게 하라는 말이 있습니다.
몰입은 재미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재미도 없고 지루한데 몰입이 가능할 일이 없습니다.
재미라는 정서는
자율성, 관계성, 유능성의 추구에 의해 가능해집니다.
CEO여러분들은 관계를 맺기 위해 최고경영자과정에 오셨네요.
물론 스스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와서 뻘쭘하게 앉아 있으면 자신의 선택에 모순되는 행동을 하고 계시는거죠.
행복은 의지적인 행동에 의해 결정되니까요.
관계를 잘 맺기 위해 우리는 어제 대화를 나누었고, 안마도 시도했고, 악수와 스킨십을 했습니다.
그리고... 스스로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럴수록 유능해질겁니다.
행복한 인생.. 경험치가 쌓일수록 유능해지고 그래서 더욱 즐거워지는 것 같습니다.
"행복하고 싶은데 잘 안됩니다. "
라는 분이 계셨습니다.
구체적인 작은 플랜을 짜는 것이 중요하겠네요.
만일 행복하고 단란한 가정을 원한다면 무엇부터 할 것인지.
아내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해볼까?
하루에 몇회??
당장 시작해야합니다.
너무나 당연한 것에 감사해야합니다.
감사 일기 100개 쓰기..
등등... 웃음과 함께 행복에 포커싱한 많은 얘기를 나누고 왔습니다. ㅎㅎ
어제 정말 모두들 애쓰셨습니다.
강의시간이 끝나갈 때쯤 되니.. 무르익어가는 재미!!
아쉬움을 뒤로한 채 마무리했고, 그것이 가장 뿌듯한 강의 아닐까 합니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